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49재(四十九齋)의 의미와 날짜 계산 방법

by Mayan 2023. 1. 30.

 

사십구재는 사람이 죽은 지 49일째에 좋은 곳에 태어나길 기원하며 거행하는 불교의식으로 사람이 죽은 다음 7일마다 불경을 외면서 재(齋)를 올려 죽은 이가 그동안에 불법을 깨닫고 다음 세상에서 좋은 곳에 사람으로 태어나기를 비는 제례의식입니다.

 

그래서 칠칠재(七七齋)라고도 부르는데, 이 49일간을 '중유(中有)' 또는 '중음(中陰)'이라고 하는데, 이 기간에 죽은 이가 생전의 업(業)에 따라 다음 세상에서의 인연, 즉 생(生)이 결정된다고 믿기 때문입니다.

 

49재(四十九齋)의 의미와 날짜 계산 방법

 

49재 계산

 

과거에는 고인이 돌아가신 후 49일간 7일째 되는 날마다 한 번씩 재를 올렸습니다.

7일마다 7번의 재를 올려 칠칠재(七七齋)라고도 부르며, 날은 고인이 돌아가신 날을 1일로 봅니다. 

  • 7일 : 초재
  • 14일 : 이재
  • 21일 : 삼재
  • 28일 : 사재
  • 35일 : 오재 
  • 42일 : 육재
  • 49일 : 칠재

 

 

네이버날짜 계산기 : 네이버 통합검색

'네이버날짜 계산기'의 네이버 통합검색 결과입니다.

search.naver.com

 

49재 상차림

 

과거에는 49일간 7일째 되는 날마다 한 번씩 재를 올려야 하지만, 돈과 시간이 많이 들기 때문에 요즘에는 간단하게 마지막 49일에 하는 재만 지내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재를 크게 지내지는 않더라도 일가족들이 참석하여 조촐하게 예불을 올리기는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정화수 한 그릇을 떠놓은 다음 제사 음식은 삼색 과일과 북어, 포 등과 같이 간소화해서 올립니다. 그리고 생전에 고인이 좋아하던 음식을 올려 지내는 것이 보편적입니다. 단, 귀신을 쫓아내는 마늘과 고춧가루, 소금, 팥등은 사용이 금기되어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절을 올리고 이후 고인의 유품과 사진을 태우면 사십구재가 끝이 납니다.

 

49제는 주로 해가 떠 있는 시간에 드리며, 아침에 지내는 경우가 가장 많습니다. 하지만, 정해진 제사시간은 없기 때문에 가족들이 모일 수 있는 오후 시간이라도 해가 떠 있는 시간이라면 관계없습니다.

 


 

원래 불교의 '무아설(無我說)'에 따르면 개인의 생전의 행위 자체에 대한 업보(業報)는 그 사람 개인에 한정되며, 어떤 방법으로도 자녀 또는 그 후손 누구에게도 전가될 수가 없으며 전가시킬 수도 없다고 말합니다.

 

그러나 유교사상은 이 49일 동안에 죽은 이의 영혼을 위하여 그 후손들이 정성을 다하여 재를 올리면, 죽은 부모나 조상이 후예들의 공덕에 힘입어 보다 좋은 곳에 인간으로 다시 태어나게 되고, 또 그 조상의 혼령이 후손들에게 복을 주게 된다는 것입니다.

'무아설'과는 다른 육도(六道) 사상적 해석에 따르면, 모든 중생은 육도, 즉 천상(天上)·인간(人間)·축생(畜生)·아수라(阿修羅)·아귀(餓鬼)·지옥도(地獄道) 등 여섯 세계를 윤회하고 있으므로 죽은 가족이 이 중 이른바 삼악도(三惡道; 지옥도·아귀도·축생도)에 들어가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비는 기도 행위가 49재라는 것입니다.

 

사십구재와 별개로 망자의 영혼이 좋은 곳에 환생하기를 바라며 따로 재를 지내기도 하는데, 이를 천도재(薦度齋)라고 부릅니다. 영혼이 이 세상에서 좋은 세상으로 건너가기를(천도) 기원하여 올리는 재라고 '천도재'라고 부릅니다. 천도재는 의미가 가장 넓은 말이기 때문에, 사십구재는 물론 수륙재(水陸齋)등을 모두 포함한다고 합니다.

 

 

 

 

삼재(三災)란? 삼재띠 알아보세요.

삼재(三災)는 인간이 9년 주기로 맞이하는 인생에서 위험한 시기를 말하는 단어입니다. 9년이 지나가는 시점부터 3년간 별의별 재난을 겪게 된다고 하며 이를 삼재팔난이라고 부릅니다. 삼재 1년

mayanstory.com

댓글